운영체제의 특징
운영체제: 사용자 편의를 위한 인터페이스인 동시에 다양한 자원(cpu,메모리,디스크,IO)을 관리한다
유닉스와 리눅스의 차이점
리눅스: 무료/ 개발자 대상/오픈소스 개발/
유닉스: 유료/ 대형 시스템 관리자 대상/사업자에 의해 배포
운영체제 기본 명령어 (CLI 및 GUI 환경에서 OS의 기본 명령어 활용)
CLI : 사용자가 직접 명령어를 입력 / GUI : 마우스로 화면을 클릭하여 컴퓨터를 제어
리눅스/유닉스 계열 OS 기본 명령어(shell에서 명령어 입력) -help, #man
윈도우 기본 명령어 help +
운영체제 핵심 기능 파악
메모리 관리 : 프로그램의 실행 종료까지 메모리를 가용한 상태로 유지 및 관리하는 것
프로세스관리: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하고, 관리 기법에는 일시중지 및 재실행, 동기화, 통신, 교착상태처리, 프로세스 생성 삭제 등
데이터베이스 종류 및 선정
데이터베이스: 다수가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
DB종류: 파일시스템 ISAM,VSAM / HDBM계층형/ NDBMS 망형/ RDBMS 관계형
DBMS특징 : 데이터 무결성/일관성/회복성/보안성/효율성
RDBMS활용
ERD(E-R Diagram): 결과로 도출된 실체(entity)와 엔티티간의 연관 관계를 도식화 한 것
ERD모델 : ERD도식화 전 각 개체를 사각형(tbl),화살표(pk,fk),동그라미(컬럼)로 표기한 형태
ERD최적화 > 정규화 수행 : 무결성 확보 및 중복 배제의 목적
1정규화: 반복 그룹의 속성을 별도로 추출 / 2정규화: 부분 함수적 종속성 제거/ 3정규화: 키에 종속되지 않은 컬럼 제거
OSI7계층(OSI 에서 개발한 네트워크 계층 표현 모델/각 계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)
1계층 : 물리계층 – 실제 장비들의 연결 장치(케이블/허브/리피터)
데이터는 0과 1의 비트열, 즉 On, Off의 전기적 신호 상태로 이루어져 해당 계층은 단자 데이터 전달.
알고리즘 및 오류제어 기능 없음, (EX) 케이블 ,허브
2계층: 데이터링크계층 – 오류와 흐름을 제거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
물리적 연결을 통한 두 장치간의 정보 전송 (Point-To-Point 전송), MAC 주소를 통해 통신
(브리지,스위치)
3계층: 네트워크계층 – 다수의 중개 시스템 중 올바른 경로 선택 지원(라우터)
라우팅 기능(최적의 경로 찾기), (IP주소 > 네트워크 계층의 헤더)***
4계층: 전송계층transport- 송수신 프로세스 간의 연결 (TCP/IP UDP)
데이터 전송 담당/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오류검출 및 복구, 흐름제어 등 수행 /
데이터 전송을 위한 포트번호 사용 대표 프로토콜 TCP & UDP)
5계층: 세션계층 -송수신 간의 논리적 연결 / 통신 장치 간 상호작용 및 동기화 제공 (호스트:PC 등)
6계층 : 표현계층presentation –코드문자 등을 번역하여 일관되게 전송 (호스트:PC 등)
데이터를 어떻게 표현할지 정하는 계층 (ex) 데이터 해석을 위한 데이터 부호화, 데이터 압축, 데이터 암호화 & 복호화)
7계층 : 응용계층application – 사용자 친화 환경 제공 ex)이메일,웹 등 (호스트:PC 등)
사용자와 가장 밀접한 계층으로 인터페이스 역할 (ex) 전자메일, 인터넷)
TCP/ UDP (4계층 – 전송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) : 특정 IP주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
TCP : (연결지향) 데이터를 메시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되는 프로토콜
안정성 높음/ 속도 느림 (순서대로/ 전송 여부 확인)
UDP : (비연결지향) 데이터를 보내는 쪽에서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프로토콜
보내는 쪽에서는 받는 쪽이 데이터를 받았는지 받지 않았는지 확인 XXXX (순서 상관 X / 전송여부 확인 X) 안정성 낮음/ 속도 빠름
IP (3계층 – 네트워크 계층) : 인터넷 프로토콜 /비연결지향 /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인터넷 규약주소 (고유 식별 주소)
라우터 : 망 연동 장비&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중계 역할의 네트워크 장치/
라우팅 : 네트워크로 통신 데이터 전송시 가장 이상적인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
라우팅 알고리즘 > 거리벡터 알고리즘 / 링크 상태 알고리즘(거리벡터에 비해 계산이 더 복잡)
LAN ‘스위칭’ : 패킷 교환이 사용된 LAN(=근거리 통신망/네트워크)
패킷스위칭 : 광대역 네트워크 전송에 쓰이는 스위칭 기법 ATM , X.25, 프레임릴레이,TCP
서킷스위칭 : 네트워크 리소스를 특정 사용층이 독점하도록 하는 것(독점하기 때문에 전송이 보장됨)
'정보처리산업기사_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보처리산업기사_과정평가형_필기요약] 배치프로그램 (0) | 2022.07.22 |
---|---|
[정보처리산업기사_과정평가형_필기요약] 서버프로그램 /모듈화 (0) | 2022.07.22 |
[정보처리산업기사_과정평가형_필기요약] 반정규화/ 물리데이터모델링 (0) | 2022.07.22 |
[정보처리산업기사_과정평가형_필기요약] 데이터모델링 / 정규화 (0) | 2022.07.22 |
[정보처리산업기사_과정평가형_필기요약] UI프로토타입/ UI설계 (0) | 2022.07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