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IT국비지원교육_코딩_비전공자] Servlet & jsp 파라미터 처리
URL나누기
웹서버 내 자원에 대한 경로 : 자원 중 어떤 것을 지칭하는가
Ø HTTP라는 서블릿을 extends해서 자바 웹서버로 파일 만들었던 거
Ø 그때했던 웹 서블릿의 이름이 추상화된 이름이다 (search.naver 만든거)
Ø 보통 그 부분을 file name 이라고 부른다
HTTP라는 서블릿을 extends해서 자바 웹서버로 파일 만들었던 거
그때했던 웹 서블릿의 이름이 추상화된 이름이다 (search.naver 만든거)
보통 그 부분을 file name 이라고 부른다
URL에서 ‘?’ 이후에 나오는 것을 파라미터라고 한다
이 웹서버까지 도달하기 위해서 어떤 값을 가지고 넘어왔어야 했었을 때 이런 파라미터의 문자열 형태로 보여주게 된다
이 파라미터들은 엔퍼센트 기호로 구분된 KEY,값으로 이루어진 짝을 이룬 list이다
키와 값을 쓰고 그것이 list가 된다 >>11장에 나오는 map과 list 이다
파라미터를 쓰는 이유 : 상호간에 통신을 할 때 내가 이것을 가지고 가는 것을 파라미터로 쓰는데 메서드와 통신을 할 때(호출)도 파라미터를 가지고 가는 것 처럼
주소상에서도 파라미터가 필요함
파라미터를 쓰는 규칙
? 를 쓰는 지점부터 파라미터 시작. 등호=로 짝지어진 값의 쌍을 구분짓기 위해 엔퍼센트를 사용한다
# 기호 -> anchor 는 일종의 자원안에서의 북마크 같은 기능
html안에서 스크롤바 위치를 지정하게끔 해주는 것
bookmarked 지점에 위치된 내용을 보여주기 위해서 브라우저에게 방향을 알려주고 html문서에서 anchor가 정의해놓은 곳을 스크롤한다, 스크롤 위치를 옮겨준다
아이프레임 사용해서 유튜브 페이지를 링크로 거는 것 (특정시작위치)
>> 30분짜리 비디오인데 20분부터 보게 하게끔 하려면 여기에 #하고 특정지점을 시간으로 써준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