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112)
[IT국비지원교육_코딩_비전공자] 배열의 활용 + 객체지향언어의 특징 Arrays클래스로 배열 다루기 > 배열의 비교와 출력 equals( ), toString( ) int[] arr = {0,1,2,3,4}; int[][]arr2D = {{11,12}, {21,22}}; System.out.println(Arrays.toString(arr)); // [0,1,2,3,4] System.out.println(Arrays.deepToString(arr2D); // [[11,12] , [21,22]] String[][]str2D = new String[][]{{"aaa","bbb"}, {"AAA","BBB"}}; String[][]str2D2 = new String[][]{{"aaa","bbb"}, {"AAA","BBB"}}; System.out.println(Arrays.eq..
[IT국비지원교육_코딩_비전공자] 배열의 초기화/ 배열의 복사 배열의 길이와 인덱스 배열의 길이 : 배열의 저장공간 크기 (배열의 요소 개수, 즉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의 칸 개수이다) : 배열의 길이(최대값 약 20억 ; int타입) 제한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으며, 길이가 0인 배열도 생성 가능 배열의 요소 : 생성된 배열의 저장공간 배열의 장점 : Index로 상수 대신 변수나 수식도 사용 가능 (여러개의 배열 index 수식을 for문으로 간단히 할 수 있다) 배열을 다룰 때 주의사항 : index의 범위를 벗어난 값을 index로 사용하면 컴파일 오류는 없으나 실행시 에러 발생 (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오류 발생) 다음의 예시는 index로 상수 대신 변수 i 를 사용하여 for문으로 제어변수 i 값을 0부터 4까지 증..
[IT국비지원교육_코딩_비전공자] 배열의 특징/ 배열의 선언과 생성 배열(array)이란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 '같은 타입'의 변수 라는 조건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타입의 변수들로 구성된 배열은 만들 수 없다. 예를 들어 성적처리 프로그램을 작성한다고 가정했을때 여러 학생의 점수를 다루기 위해서는 각 변수(학생 점수)에 번호를 붙여서 점수를 저장해야 할텐데 학생수가 100명 혹은 1000명 정도로 많아지게 되면 일일이 다 변수를 선언해주기가 어렵다. int score1 , score2, score3, score4, score5 ;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오늘 배운 배열을 사용하여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들을 하나의 묶음으로 다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. (많은 양의 데이터를 손쉽게 다룰 수 있음) 배열의 선언 예시 int [] sco..
[IT국비지원교육_코딩_비전공자] 조건문 / if문 / if-else문 / 중첩 if문 / switch문 오늘은 지난시간 변수 파트 마무리 이후 '연산자'라는 새로운 파트의 시작이다. 연산자(opreator) :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(+,-,*,/ 등) 피연산자(operand) : 연산자의 작업 대상(변수, 상수, 리터럴, 수식) 예시) x+3 이라는 2(피연산자의 수)항연산에서 연산자는 + 이고, 피연산자(항/대상)은 x 와 3 이다. x의 값이 5라면 위 식의 값은 8이 됩니다. #연산자의 종류 (연산 순서 즉, 우선순위는 위에서 아래 순으로 처리한다) 산술 연산자 + - * / % > 비교 연산자 > =
[IT국비지원교육_코딩_비전공자] 증감 연산자/ Math.round( ) & 나머지 연산/ 비교 연산자 / 논리 연산자 / 조건 연산자 연산자 :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피연산자 : 연산자의 연산 수행 대상 X + 3 ( X와 3은 피연산자 / + 는 연산자 ) > 모든 연산자는 연산결과를 반환하므로, 연산결과를 반환하지 않는 ( ) 기호는 연산자가 아님 > 연산자의 결합규칙은, 대입과 단항연산자 제외 모두 '왼쪽 -> 오른쪽' > 저장된 값 = 반환된 값 = return값 증가연산자 ++ :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시킨다 감소연산자 -- :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시킨다 j = ++i; // 값이 먼저 증가됨 (값이 참조되기 전에 증가시킨다) j = i++; // 값이 나중에 증가됨 (값이 참조된 후에 증가시킨다) > 증감 연산자가 독립적으로 사용된 경우, 전위형과 후위형의 차이가 없음 형변환 : 변수 또는 상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..
[IT국비지원교육_코딩_비전공자] 정수형의 오버플로우 / 타입간의 형변환 오버플로우 : 표현가능한 범위를 넘는 것 최대값 + 1 ---> 최소값 최소값 - 1 ---> 최대값 9999 0000 + 1 - 1 ------ ------- 0000 9999 타입간의 변환 1) 문자와 숫자간의 변환 숫자 + '0' 문자(정수로는 48) ---> 문자 '3' 문자 '3' - '0' ----> 숫자 3 2) 문자열로의 변환 3 + "" ----> "3" '3' + "" -----> "3" *문자던 숫자던 상관없이 빈 문자열을 더해준다 3)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Integer.parseInt("3") ----> 숫자 3 Double.parseDouble("3.4") ----> Double타입 숫자 3.4 4) 문자열을 문자로 변환 "3".charAt(0) ----> 문자 '3'
[IT국비지원교육_코딩_비전공자] 변수와 상수/ 리터럴 / 기본형&참조형 변수타입 / printf( ) / 화면에서 입력받기Scanner 지난 시간에 자바개발환경 구축(운영서버/개발도구 세팅)을 완료하고 eclipse를 사용하여 "Helloworld"라는 간단한 문장 출력 프로그램을 작성해봤다. 이를 기반으로 변수와 상수라는 새로운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. 변수 :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메모리공간 => 램 메모리 주소 => 각각의 저장공간에 연속적인 번호를 붙인 것 변수 => 특정 메모리 영역에 이름을 붙이고 주소를 대신해 이름을 이용해서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고 읽을 수 있게 한 것 *변수를 사용하는 이유 :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거나 읽을 때 우리는 메모리 주소를 이용해야 하는데 메모리 주소는 숫자라서 기억하기 힘들다 예를들어 사람의 나이를 저장할 공간에 age라는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이름을 붙이면 값을 읽고 쓰는데 더..
[IT국비지원교육_코딩_비전공자] JDK설치 / 자바프로그램 실행과정 / 이클립스 실습 / Hello Java 출력 / 주석 프로그래밍 개발자로 입문하기에 앞서 다음의 두가지 운영서버/개발도구 세팅을 통해 java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환경을 구축해줍니다. #1 운영서버 세팅 AWS (Amazon Web Service) - 회원가입 먼저 운영서버 세팅의 첫번째 단계로 AWS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무료 계정에 가입해주세요. 위의 '무료 계정 생성' 버튼을 눌러 아래 화면이 뜨면, 가입 절차에 따라 계정을 생성해주시면 되는데 *이때 주의 할 부분으로, 결제 정보등록 시 필히 해외 결제가 가능한 카드로 설정해주셔야 합니다. 마지막으로 Cloudflare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AWS와 동일하게 계정 가입을 완료해주세요. 결제 정보 등록이 다소 까다로웠던 AWS와 달리 Cloudflare의 경우 메일 계정을 통해 간단하게 가입이 가능합니다...